모르면 손해보는 정보통

복잡하고 어려운 정부지원, 쉽게 풀어주는 level me up

카테고리 없음

타이탄의 도구들 - 오직 하나의 글 만 읽을 수 있다면 이 글을! the tail end 막번역본.

level me up 2019. 6. 28. 17:57
반응형

https://waitbutwhy.com/2015/12/the-tail-end.html

 

The Tail End — Wait But Why

No matter what your age, you may, without realizing it, be enjoying the very last chapter of the relationships that matter most to you. Make it count.

waitbutwhy.com

타이탄의 도구들을 읽다가

단 하나의 글을 읽을 수 있다면

당장 이 글을 읽으란다 ㅎㅎ

 

그래서 책을 접고 들어감..

 

나에게 남은시간 30분!

막번역 해보았음.

 

 

The Tail End

December 11, 2015 By Tim Urban

Facebook

Twitter0

저장

 

We made a fancy PDF of this post for printing and offline viewing. Buy it here.

In a post last year, we laid out the human lifespan visually.

 

By years:

90년의 삶 년으로 표

By months:

And by weeks:

While working on that post, I also made a days chart, but it seemed a bit much, so I left it out. But fuck it.

날로도 표현해보았다. 노다가 ㄱㄱ

 

 

2줄이 1년

1색션 구간이 10

The days chart blows my mind as much as the weeks chart. Each of those dots is only a single Tuesday or Friday or Sunday, but even a lucky person who lives to 90 will have no problem fitting every day in their life on one sheet of paper.

 

90년의 인생이 이렇게 한장의 종이에 표현된다니 놀랍다.

 

But since doing the Life in Weeks post, I’ve been thinking about something else.

Instead of measuring your life in units of time, you can measure it in activities or events. To use myself as an example:

그러나 주를 인생으로 표현하는 동안, 나는 다른 것을 생각해보았다.

삶을 계산하는 것 대신 특별한 활동이나 이벤트를 세보았다. 나를 예로 들자면

 

I’m 34, so let’s be super optimistic and say I’ll be hanging around drawing stick figures till I’m 90.1 If so, I have a little under 60 winters left: 

나는 34살이고 엄청 긍정적으로 생각해 봣을때 90까지 돌아다닌다 치면 60번의 겨울이 남았다.

And maybe around 60 Superbowls left: 60번 럭비 경기 남았다.

 

The ocean is freezing and putting my body into it is a bad life experience, so I tend to limit myself to around one ocean swim a year. So as weird as it seems, I might only go in the ocean 60 more times:

찬 바다에 뛰어드는건 나쁜 경험이기에, 나는 1년에 한번정도 할 의향이 있다. 뭐 이상하게 들리겠지만, 아마도 60번정도 바다에 뛰어들  기회가 남아있다.

 

Not counting Wait But Why research, I read about five books a year, so even though it feels like I’ll read an endless number of books in the future, I actually have to choose only 300 of all the books out there to read and accept that I’ll sign off for eternity without knowing what goes on in all the rest.

 

1년에 5권정도 읽는데, 죽기 전까지 무한한 책을 읽을것 같았는데, 세어보니 300권의 선택이 남았다.

Growing up in Boston, I went to Red Sox games all the time, but if I never move back there, I’ll probably continue at my current rate of going to a Sox game about once every three years—meaning this little row of 20 represents my remaining Fenway visits:

There have been eight US presidential elections during my lifetime and about 15 to go. I’ve seen five presidents in office and if that rate continues, I’ll see about nine more.

 

5번 대통령 바뀌었고 이제 9번남았다.

I probably eat pizza about once a month, so I’ve got about 700 more chances to eat pizza. I have an even brighter future with dumplings. I have Chinese food about twice a month and I tend to make sure six dumplings occurs each time, so I have a fuckton of dumplings to look forward to:

 

나는 한달에 1번 피자 먹는데 700번 더 먹을 수 있는 기회가 남았다. 난 만두도 엄청 좋아하는데,  한달에 2번정도 중국음식 먹는데 그때 6개 먹는다. 그러니 내가 먹을 수 있는 양은.. (아오 눈아팤ㅋㅋㅋ)

 

But these things aren’t what I’ve been thinking about. Most of the things I just mentioned happen with a similar frequency during each year of my life, which spreads them out somewhat evenly through time. If I’m around a third of my way through life, I’m also about a third of my way through experiencing the activity or event.

What I’ve been thinking about is a really important part of life that, unlike all of these examples, isn’t spread out evenly through time—something whose [already done / still to come] ratio doesn’t at all align with how far I am through life:

내가 이런것들을 말하려고 한게 아니이. 지금까지 말한 것들은 지속적이고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것 들이다.

만약에 내가 인생의 3분의 1쯤 살았다고 하면,  3분의 1정도 경험과 이벤트를 겪었다.

이러한 예들과 달리, 내가 인생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은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것[이미 끝남/일어날 것] 이런 것들은 예측이 불가하다.

 

 

 

Relationships.

인간관계

 

I’ve been thinking about my parents, who are in their mid-60s. During my first 18 years, I spent some time with my parents during at least 90% of my days. But since heading off to college and then later moving out of Boston, I’ve probably seen them an average of only five times a year each, for an average of maybe two days each time. 10 days a year. About 3% of the days I spent with them each year of my childhood.

부모님은 현재 60대 중이다. 내가 18세가 되었을 때,  90%정도의 시간을 함께 했지만, 대학 이후 1년에 5번 정도 만났다. 대략 평균 1년 10일 정도로, 유년기 시절의 단 3%정도만의 시간을 함께 보냈다.

 

 

Being in their mid-60s, let’s continue to be super optimistic and say I’m one of the incredibly lucky people to have both parents alive into my 60s. That would give us about 30 more years of coexistence. If the ten days a year thing holds, that’s 300 days left to hang with mom and dad. Less time than I spent with them in any one of my 18 childhood years.

최대한 낙관적으로 생각해서, 내가 운이 좋아서 나의 60대까지 부모님이 살아계신다고 하면, 나에게 30년의 시간이 더 남아있고 1년에 10일이라고 생각하면 총 300일의 시간이 남아있다.  이는 내가 18살에 부모님과 보낸 시간보다 적게 남아있다.

 


 

 

 

 

When you look at that reality, you realize that despite not being at the end of your life, you may very well be nearing the end of your time with some of the most important people in your life. If I lay out the total days I’ll ever spend with each of my parents—assuming I’m as lucky as can be—this becomes starkly clear:

 

현실을 맞닥드리게 되었을 때, 당신 삶의 막바지에 있지 않더라도 깨닫게 된다. 당신의 인생에서 중요한 사람들과 함께하게 될 시간이 거의 끝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내가 엄청나게 운이 좋아서 부모님이 살아계신다는 가정하에 부모님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적어본다면, 그것은 더욱 명백해진다.

 

 

 

 

It turns out that when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I had already used up 93% of my in-person parent time. I’m now enjoying the last 5% of that time. We’re in the tail end.

It’s a similar story with my two sisters. After living in a house with them for 10 and 13 years respectively, I now live across the country from both of them and spend maybe 15 days with each of them a year. Hopefully, that leaves us with about 15% of our total hangout time left.

The same often goes for old friends. In high school, I sat around playing hearts with the same four guys about five days a week. In four years, we probably racked up 700 group hangouts. Now,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with totally different lives and schedules, the five of us are in the same room at the same time probably 10 days each decade. The group is in its final 7%.

So what do we do with this information?

내가 고등학교 졸업을 한 뒤로 나는 부모님과 함께하는 시간의 93%를 썼다. 그리고 나는 나머지 5%시간을 즐기고 있다. 우리는 지금 꼬리의 끝에 있다. 

두 여동생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우리는 각각 10년, 13년이란 시간을 한집에서 지냈고, 나는 지금 멀리 떨어져 살고 있고 아마도 1년에 15일정도의 시간을 함께 보낸다.  희망적으로 생각 했을때, 우리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은 15%정도 남았다. 

이 것은 오랜 친구와도 마찬가지 이다. 고등학교 때, 절친들과 일주일에 5일을 같이 어울려 다녔다. 고등학교 4년 동안, 우린 아마도 700번 정도 만났을 것이다. 지금은 서로 다른 삶을 가지고 다른 지역에서 사는데, 다섯명 모두가 만날 시간이 10년간 10일정도 될 것 같다. 이 그룹은 7%가 남았다.

그래서 우린 어떤 사실을 알 수 있는가?

 

 

 

 

 

Setting aside my secret hope that technological advances will let me live to 700, I see three takeaways here:

1) Living in the same place as the people you love matters. I probably have 10X the time left with the people who live in my city as I do with the people who live somewhere else.

2) Priorities matter. Your remaining face time with any person depends largely on where that person falls on your list of life priorities. Make sure this list is set by you—not by unconscious inertia.

3) Quality time matters. If you’re in your last 10% of time with someone you love, keep that fact in the front of your mind when you’re with them and treat that time as what it actually is: precious.

 

기술이 발전해서 나를 700살까지 살게 해주었으면 하는 희망을 제쳐두고, 여기 3가지 중요한 요점을 보자.

1) 사랑하는 사람들과 같은 곳에 사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 다른 도시에 살고있는 사람들보다 같은 도시에 사람들과 10배 더 많은 시간을 보냈을 것이다.

 2) 우선 순위가 중요하다. 번뜩 떠오르는 사람이 당신의 우선순위 목록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이 목록은 당신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무의식적인 관성이 아니라.

3) 양질의 시간이 중요하다.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겨우 10%만 남아있다면, 그들과 함께 있을때 그 시간이 소중한 시간이라는 사실을 잊지말라.

 

 


인간관계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나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사람과 시간을 함께 보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정중하게 거절하면서

나 스스로에게 유익한 시간을 늘리자.

 

그리고 항상 너무나 당연하게 함께 있기에 소중함을 간과하기 쉬운 가족,

감사일기를 쓰면 항상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적게 되는데 이 사실을 항상 일께워주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반응형